계륵같은 데스크톱PC

2005년 이후로는 노트북이 데스크톱 시장을 앞질렀다고 하지요. 그리고 2022년 출하된 컴퓨터의 72%는 노트북이고, 데스크톱은 28%라고 합니다. 솔직히 저 자신도 2006년 아이맥 이래로 데스크톱을 구입 한적이 없다가 작년에서야 한대 들여놨는데요. 이게 솔찮이 계륵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좋은 컴퓨터입니다. 성능면에선 어지간한 노트북이 말을 못 붙일 성능이라는건 잘 알고 있는데 말이죠. RTX3090을 탑재하고 있습니다만 RTX4090으로

누리호 3차 발사, 우리 위성 8기를 지구궤도로!

누리호 3차 발사, 우리 위성 8기를 지구궤도로! 2021년 10월 21일 1차 시험발사를 시작으로, 2022년 6월21일엔 2차 시험발사가 있었고, 오늘 2023년 5월 24일에 누리호 3차 발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번엔 시험발사가 아니라 ‘시험’자를 떼낸, 그냥 ‘발사’입니다. 실제 우리나라가 개발한 위성을 지구 궤도에 올리는 실전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어떤 위성이 올라가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글의 순서 누리호 발사

오픈 월드와 궁합이 잘 안맞는 푸른곰씨

세간이 온통 <젤다의 전설 티어즈 오브 더 킹덤>으로 소란스러운 와중에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글을 쓰는 시점과 발행되는 시점이 차이가 있어서 글을 읽으시는 시점에서도 소란스러울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수년간 사람들이 기대해왔던 젤다의 신작이 공개된지 며칠 안된 상황에서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일단 의무감 비슷하게 다운로드로 한 카피를 샀는데요(게임 카드로 전작을 샀다가 게임 카드 갈아 끼우기 귀찮은 문제로 거의 방치했던 것을 반성하는 차원에서). 저는

갑자기 전가의 보도가 된 IFTTT

만약 트위터가 API를 유료화하고 차단하지 않았다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입니다. 물론 평소에 유용하게 사용하던 서비스이긴 하던 IFTTT가 문자 그대로 전가의 보도가 되었습니다. 평소에 글을 게시하면 자동으로 발행하던 트위터에 이어, 마스토돈에도 자동으로 발행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중심에 IFTTT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마스토돈의 경우, Automattic이 실장을 예고만 한 상태로 따로 발행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없었기 때문에 더더욱 가치가

트위터와 마스토돈 자동 발행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빌어먹을 일론 머스크 멜론 때문에 Automattic이 트위터 자동발행을 멈추었다는 사실은 오늘 일찍 전해드렸습니다. 그걸 해결하기 위해 서드파티 서비스를 이용해서 우회해서 올리기로 했습니다만, 그 김에 마스토돈으로도 올려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만약 이 포스트를 트위터나 마스토돈을 통해 들어오셨다면 성공한거라고 생각합니다.

트위터 API 유료화의 여파가 다가오다

트위터 API 유료화의 여파가 다가왔습니다. 이 블로그의 트위터 자동 발행 기능을 제공하던 Automattic 사의 사전 공지가 있었고, 곧 다가올 일이긴 했으나 정말로 가 버린(?) 것이죠. 수동으로 발행을 하거나 다른 비용을 들여 서드파티를 사용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참입니다만, 당분간은 트위터로 자동 발행은 재고해봐야겠습니다. 현재로써는 당분간 RSS를 사용하시거나 페이스북 페이지를 팔로우 해주십사 합니다. 문제를 해결했기에 앞으로 발행되는 글은

라이트 노벨을 즐기는 도락에 관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그렇긴 하지만, 일본에서는 정말 많은 라이트노벨을 간행하는 출판사와 레이블(문고)이 있고, 거기서 매달 한번씩은 책이 나옵니다. 그러다보면 그 레이블, 더 나아가서는 출판사, 내지는 그 이상을 먹여살리는 작품이나, 혹은 그 작품의 작가의 후속이나 곁가지 프로젝트가 나오는 경우도 있고, 전혀 새로운 신인의 작품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라이트 노벨은 특성상 작가의 글 또한 중요하지만, 삽화 또한 중요한 하나의 요소인 만큼, 작가와

블로그와 롱폼, 철 지난 듯한 것에 매달림에 대하여

생각해보세요. 예전에 인터넷에 자신의 생각을 올리는 것은 컴퓨터에 앉아서 키보드를 두드리는 일이었습니다. 생각을 하고 글을 쓰고 올리기 버튼을 눌러서 완성되는 하나의 의식 같은 행위였단 말이죠. 아이팟 터치로 Twitterrific(…RIP)을 통해서 제한적이나마 트윗을 하다가 아이폰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가능하게 되었을 때 전율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사진과 동영상, 단문을 언제 어디서나 올릴 수 있는데 책상 머리에 앉아서 또각또각 글을 쓰는 것의 철

비트코인 시계열 데이터 기술적 분석 : 추세분석 지표 비교

비트코인 시계열 데이터 기술적 분석 : 추세분석 지표 비교 과거부터 지금까지 흘러온 데이터로부터 미래를 예측해보는 것을 기술적 분석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추세분석을 위한 6개의 기술적 분석 지표를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들 추세분석 지표들이 서로 공통점을 보이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비교 대상은 파이썬 파이낸스 API로 가져온 비트코인 가격입니다. 글의 순서 추세분석 지표 6가지 추세분석 지표 비교 시계열 데이터 기술적 분석 : 추세분석 지표

애플 M2 Pro, M2 Max 칩과 인텔, AMD 칩 CPU 성능 비교

애플 M2 Pro, M2 Max 칩과 인텔, AMD 칩 CPU 성능 비교 2023년에는 애플 M3 칩의 양산이 불투명할 전망이라, 안타깝게도 2024년을 기약해야 할 상황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2월에 발표된 애플 M2 Pro, M2 Max 칩과, 최신 인텔 i7, i9칩, AMD Ryzen 7, 9 칩의 CPU 성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Geekbenck 6 의 결과이며, 인텔 i7-12700의 싱글코어 점수를 2500으로 놓고 교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