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백, 한국인이 좋아하는 커피맛과 ‘한국형 커피맛 인덱스’ 공개

사무실 커피구독 서비스 ‘블리스’를 운영하는 브라운백에 따르면 한국인의 50% 이상이 고소한 커피맛을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쌉쌀한 맛, 단맛이 그 뒤를 이었고, 신맛을 좋아하는 이들은 10%가 되지 않았다. 네이버쇼핑 커피 카테고리 내 인기 검색 브랜드 1위를 기록한 브라운백이 100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커피맛 ‘얼마나 고소하고 신 맛인가’는 음식에 빗대어 해결 닭갈비집에 가면 “얼마나 맵게 해드릴까요?”라는 질문을 받는다. 하지만 카페에서

[Why] 나만의 ‘왜(Why)’를 찾아서 2: 비밀의 발견

<이전 글: [WHY] 나만의 ‘왜(Why)’를 찾아서 1: 험난한 여정> *스포일러 주의. [나만의 Why를 찾아서 1: 험난한 여정]에서 이어집니다. ‘8시 55분’까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1편을 꼭 먼저 읽고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쉼 없이 달려온 지 정확히 9시간이 경과된 그 순간, 세포가 쭈뼛하게 서기 시작했다. 이제 건축가가 발견한 ‘왜’를 공개하면서 ‘왜’란 도대체 무엇인지 하나씩 정리할 것이다. ‘왜’를 발견하는 여정은 3 단계로 이뤄져

블루투스 코덱 3부: 제 개인적인 의견은…

솔직히 말씀드려서 블루투스 코덱에 관한 얘기를 했지만 유선 헤드폰을 앰프 부 빵빵한 DAP로 들었을 때가 가장 좋았습니다. LDAC이든 aptX Adaptive든, AAC든 못 따라오는 부분이라고 장담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말씀 드리자면 LDAC나 aptX Adaptive 같은 고해상도 포맷은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와 궤를 같이하는 면이 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좋다니깐 좋은거 같은데… 좋은건가?’ 싶은 느낌입니다. LDAC이나 aptX

MakerDao(MKR)

1/ 7월 25일, 바이낸스에서 RWA 리서치 레포트가 나왔음. On July 25, Binance released an RWA research report. https://research.binance.com/en/analysis/real-world-assets-state-of-the-market 2/ 레포트에 소개된 RWA 종목 중 하나, MKR One of the RWA stocks featured in the report, MKR 3/ RWA

블루투스 코덱 2부: 아이폰이 AAC 블루투스 코덱에 머물러 있는 이유에 관해 (발췌 번역)

애플의 에어팟 프로 2세대 발매에 즈음해서 영국의 What HiFi?와 애플의 음향 담당으로 (기사 발표 당시) 11년간 근속한 에스게 엔더슨(Esge Andersen)의 인터뷰 기사 일부를 읽어보면 왜 애플이 아직까지도 욕을 얻어먹어가면서 블루투스 코덱을 AAC를 고집하는지 살짝 엿볼 수 있습니다. 물론 국내에서는 경쟁사인 삼성이 aptX HD나 aptX Adaptive를 지원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고 어제 저는 이를 비판했습니다. 그러니 이

20230731 / CRV

트윗에 올린 CRV 사진/글을 풀어 설명하자면, To paraphrase a CRV photo/post on Twitter, 1/ 먼저 아래 사진에 초록색 v표시 구간 왼쪽을 보면 순매도량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데, 거래량은 점차 늘어나고 있음. > 매수량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임. Volume Delta를 보면, 거래량이 피크 치고난 이후에 순매수량이 찍히고 있음을 볼 수 있음. > 누군가가 저 구간에서 매수하고 있다는 말임. > 여기서 당연히 어느정도

발리하이(Bali Hai) 발리에만 있는 흑맥주맛 라거

기네스 흑맥주 맛이 나는데 탄산은 칭따오 느낌의 발리하이 라거 발리하이(Bail Hai) 정보 종류 : 맥주(라거) 구매처 : 발리에서 팔아요~ 도수 : 4.9도 용량 : 330mL 가격 : 식당가면 ~3000원, 마트가면 1800원 정도 총평 발리여행 하는중에 마사지 받기 전에 잠깐 식당에 들려서 먹었던 발리하이 입니다. 인도네시아 젤 유명한 맥주는 빈땅인거 같은데 요건 무슨 맛인지 궁금해서 한번 마셔보았습니다. 빈땅은 그냥 시원한 라거 느낌 이였는데